본문 바로가기
메타버스 이야기

메타버스의 특징과 역할

by 서문 2022. 8. 16.
반응형

1. 글로벌 메타버스 기업이 말하는 메타버스의 주요 특징

 

1). 메타(옛 페이스북) CEO, 마크 저커버그(Mark Zuckerberg)

실재감
(Presence)
실제 현장에 있는 듯한 느낌  
아바타
(Avatars)
메타버스에서 자신을 표현하는 수단
개인공간
(Home Space)
사진, 영상, 디지털 상품을 보관하는 개인공간
순간이동
(Teleporting)
언제든 원할 때 다양한 가상세계로 이동 가능
상호운용성
(Interoperability)
자신의 아바타와 디지털 아이템을 다양한 앱과 경험에 적용 가능
프라이버시/안전
(Privacy & Safety)
개인정보보호와 안전은 첫 단계부터 메타버스에 내재
가상재화
(Virtual Goods)
사진, 영상, 예술, 음악, 영화, , 게임 등 가상 상품
자연스러운 조작 환경
(Natural Interface)
자연스럽게 디바이스와 상호작용하는 익숙한 사용 환경
 

2) . 로블록스 CEO, 데이비드 바주스키(David Baszucki)

정체성
(Identity)
다양한 형태의 아바타로 표현되는 나  
친구
(Friends)
상호작용할 수 있는 사용자들
몰입감
(Immersive)
현실과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로 실감있는 경험
손쉬운 경험 전환
(Low Friction)
쉽게 즐길 수 있고 빠르게 전환할 수 있는 경험
다양성
(Variety)
사용자들의 흥미를 유발하는 방대한 경험
모든 장소
(Anywhere)
나라, 문화와 무관하게 어디에서든 제한없는 접속
경제
(Economy)
창작, 노동에 대한 대가를 지불하는 경제 시스템
시민성
(Civility)
안전하고 성숙한 시민의식

2. 메타버스를 구현하는 주요 기반기술과 역할 

메타버스는 XR, AI, 데이터, 네트워크, 클라우드, 디지털 트윈, 블록체인 다양한 ICT 기술의 유기적 연동을 통해 구현되며 현실과 가상세계 간 경계가 허물어지며 일상생활과 경제활동 공간이 확장되고, 새로운 경제·사회·문화적 가치 창출을 촉진 시키고 있다. 

 

 

메타버스 구현 주요 기반기술
 

 

구분 주요 역할
XR
(확장현실)
현실과 가상(디지털) 세계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현실과 가상세계의 공존을 촉진하고 몰입감 높은 가상융합 공간디지털 휴먼 등 구현
디지털트윈 가상세계에 현실세계를 3D로 복제하고 동기화한 뒤 시뮬레이션·가상훈련 등을 통해 지식의 확장효과적 의사결정 지원
블록체인 메타버스 창작물에 대한 저작권 관리, 사용자 신원확인 데이터 프라이버시 보호, 콘텐츠 이용내역 모니터링 저작권료 정산 등 지원
인공지능 메타버스 내 데이터 사용자 경험 학습, 실시간 통·번역, 사용자 감성 인지 및 표현 등을 통해 현실-가상세계 간 상호작용 촉진
데이터 실세계 데이터 취득 유효성 검증, 데이터 저장·처리·관리 등 수행
네트워크 초고속·초저지연 5G/6G 네트워크, 지능형 분산 컴퓨팅(MEC) 등을 통해 대규모 이용자 동시 참여, 실시간 3D·대용량 콘텐츠 서비스 제공
클라우드 이용자 요구수요 변화에 따라 컴퓨팅 자원을 유연하게 배분
 

 

반응형

'메타버스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타버스의 개념 및 플래폼 사례  (0) 2022.0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