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이야기3

패시브 하우스와 액티브 하우스 1. 에너지를 절약하는 패시브하우스 패시브 하우스는 고단열, 고효율 제품을 사용하여 에너지가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차단하는 집으로 설계 및 시공 단계에서 기밀성 확보와 건축자재 등이 중요한 역할 ⊙ 패시브하우스의 요건은 일반적으로 1년에 면적 1㎡당 사용되는 난방에너지가 1.5L로 고단열·고기밀로 설계가 이루어지고 열교환 장치 및 환기장치 등을 이용해 버려지는 에너지를 철저하게 회수하는 방식의 건축물 ⊙ 패시브 하우스 용어 자체는 독일에서 1991년 최초 사용되었으며, 이후 전 세계적으로 인정되는 패시브하우스의 정량적 요구 조건은 대부분 독일 패시브하우스 기준을 준용 ⊙ 우리나라는 공식적으로 인정되는 패시브하우스는 세미패시브 등급을 포함해 약 130 여동에 불과하고, 공동주택의 경우 2017년 말 입주.. 2022. 8. 20.
패시브 하우스란? 1. 패시브하우스의 정의 패시브 건축물이란 자연열의 재이용, 차양을 이용한 일사차단 등의 수단을 통해, 최소한의 설비에 의존하면서도 적절한 실내 온도를 유지하고, 생활에 필요한 최소한의 신선한 공기를 알맞은 온도로 공급함으로써 재실자가 열적, 공기 질적으로 만족할 수 있는 건물을 말한다. by PHIKO 패시브하우스란 직접적 난방설비의 도움없이 생활에 필요한 최소한의 신선한 공기를 보조적 설비 수단으로 조금 온도를 올리거나, 내림으로써 재실자가 열적, 공기 질적으로 만족할 수 있는 건물을 말한다. by PHI 또한 최근에는 다음과 같은 정의가 추가되었다. "에너지효율성, 쾌적함, 경제성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표준적 건물이며, 이 세가지 요소 중 한가지라도 만족시키지 못할 경우, 진정한 패시브하우스가 아니다.. 2022. 8. 18.
22년도 건설업체 시공능력평가 공시 상위 10개사(토목건축공사업) 1. 종합건설업의 업종별 공사실적 주요 순위 ㅇ 토목건축 현대건설이 7조 9,254억원 삼성물산이 7조 5,208억원 대우건설이 6조 5,348억원 ㅇ 토목 현대건설이 1조 4,164억원 대우건설이 1조 3,080억원 SK에코플랜트가 1조 2,485억원 ㅇ 건축 현대건설이 6조 5,089억원 삼성물산이 6조 4,883억원 대우건설이 5조 2,268억원 ㅇ 산업ㆍ환경설비 삼성엔지니어링이 7조 2,918억원 삼성물산이 3조 3,420억원 두산에너빌리티가 2조 2,808억원 ㅇ 조경 삼성물산이 543억원 에스케이임업이 538억원 제일건설이 509억원 2. 22 년 시공능력평가 상위 100개사 현황(토목건축) 연번 2022년 2021년 업체명 평가액 순위변동 업체명 평가액 1 삼성.. 2022. 8. 17.